반응형 정부 경기 부양책1 정부, 올해 경제성장률 1.8% 전망… 수출·건설 부진이 주요 원인 기획재정부는 2025년 경제정책방향 발표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을 1.8%로 전망했다. 이는 한국은행의 1.9% 전망보다 낮은 수치로, 정부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내수 부진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. 경제성장률과 물가 상승률이 모두 1%대에 머물 경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질 전망이다. 수출 둔화와 건설 경기 부진정부는 올해 수출 증가율을 1.5%로 내다봤다. 이는 작년 8.2%에서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로, 반도체 시장 경쟁 심화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장벽 강화가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. 반도체 분야에서는 작년 81%였던 매출 성장률이 올해 13.4%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.건설 경기도 내수 부진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. 7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간 건설기성과 위축된 경제 심리.. 2025. 1. 2. 이전 1 다음 반응형